전체보기234 보험금 지급지연과 지연이자 설계사도, 소비자도 알아야 할 보험금.보험금 지연이자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보험금 지급지연과 지연이자 1. 보험사고를 조사하겠다고?2. 지연된 지급은 이자도 챙기자 1. 보험사고를 조사하겠다고? 별다른 건강의 이상 없이 40년을 살아온 김 씨. 어느 휴일 아침, 갑자기 허리의 통증이 시작됐고, 통증은 찜질을 수시로 해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보다 못한 아내의 권유로 근처 정형외과를 찾은 김 씨는 엑스레이 및 MRI검사 후 요추의 추간판 탈출증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죠. 의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일명 퇴행성 디스크 질환이라면서 인간의 척추체는 16세 때부터 퇴화가 서서히 진행된다고 했죠. 자세가 안 좋아 어쩌다가 가끔 아픈 적은 있었지만, 파스를 붙이면 증상이 완화되었고, 병원을 찾을 정도.. 금융/약관, 보상 이야기 2022. 12. 18. 우량주에 장기투자하라, 인덱스펀드 이전글 4. 인덱스펀드 - 워렌버핏의 10억짜리 내기(Click이동) 투자의 기본은 미래 발전가능성이 큰 우량주를 매수하고 보유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빠르게 변하는 시대속에서 미래에 성장할 우량주를 지속적으로 선별해 투자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죠. 우량주에 장기투자하라, 인덱스펀드 1. 시대는 변하고, 대응은 필요하다 2. 인덱스펀드의 비중 변동 3. 거래가 많지 않다는 것의 이점 1. 시대는 변하고, 대응은 필요하다 인덱스펀드의 장점을 요약하면 1) 전문가가 2) 시가총액이 크고 3) 재정건정성이 뛰어나며 4) 미래발전 가능성을 5) 지속적으로 편입, 편출하는 효과 를 모두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우량주식이 미래에도 여전히 우량하고 유망할까요? 이게 가장 어려운 문제겠죠. 198.. 금융/투자 이야기 2022. 11. 28. 은행의 기원과 지급준비율 정부는 2016년 '저축의 날'을 '금융의 날'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금융을 은행저축 고유의 것이 아닌 적절한 투자를 동반한 재테크의 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해서였죠. 과거 직관적으로 '저축' 하면 떠오르는 금융사는 은행뿐이였죠. 근데, 오늘날의 은행의 기원은 무엇일까요? 은행의 기원과 지급준비율 은행의 기원은 처음 13세기 중반 영국의 금 세공업자들에게서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정부의 조폐국이 개인의 귀금속들을 마음대로 빼앗아가자, 시민들은 어딘가에 보관은 해야겠기에 보관료를 내고 튼튼한 금고를 가지고 있는 세공업자에게 맡기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세공업자로부터는 순도 또한 보증받을 수 있기도 했죠. 그리고 금을 맡긴 대가로 사람들은 세공업자로부터 보관증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무거운 금을 직접 주고.. 금융/ETC 2022. 11. 27. 4세대 실손, 바꿔야 하나? 실손보험을 저렴한 4세대 실손으로 전환할까 고민된다면, 이 글을 꼭 보세요 4세대 실손, 바꿔야 하나? 1. 보험기간 - 갱신 및 재가입 기간 2. 본인부담 - 본인 부담율 변화 3. 보장금액 - 면책기간 및 공제금 4. 보장범위 - 피부 질환 등 보장내용 옛날 실손보험에 비해 보장이 줄어들어서 안좋다는 말도 있고, 보험료가 저렴해져서 좋다는 말도 있는 4세대 실손. 정신과 이력이외에는 고지없이 전환이 가능해서, 다른 병력이 있어도 쉽게 신실손으로 갈아탈 수 있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장단점이 있습니다. 개인의 상황마다 전환이 유리할지, 아니면 기존 실손을 유지하는게 현명할지 여부가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을 비교해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네가지로 나눠서 비교해보면 되죠. 1. 보.. 금융/보험 이야기 2022. 11. 19. 꼭 알아야 할 건강보험료의 변화, 그리고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최근 감사원에서 건강보험공단에 "사적연금에도 건강보험료를 부과하라" 고 통보했고 이것이 꽤나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우리는 이것이 이슈가 되고 있는 이유와 내용에 담긴 의미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꼭 알아야 할 건강보험료의 변화, 그리고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1. 건강보험료의 기본 체계 2. 부과체계를 개편하는 이유와 감사원의 지적 "이대로는 안된다" 🙅🏻♂️ 3. 지역보험료 모의계산하기 🧮 cf_ 다 같은 사적연금이 아니다! 1. 건강보험료의 기본 체계건강보험료 납부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1.이민, 2.수감, 3.현역병입대, 4.사망 예외)건강보험료는 직장을 다닐 때에는 직장가입자로 분류되어 본인이 4.5%를, 회사에서 4.5%를 내줍니다.그래서 직장을 다닐 때에는 자신의 통장에서 빠져나.. 금융/ETC 2022. 11. 7. 환노출과 환헤지, 어떤 펀드로 투자해야 이익일까요? 해외펀드를 투자할 생각이라면 꼭 중요하게 봐야 할 펀드의 형태가 있습니다. 바로 환헷지냐 환오픈형이냐의 차이인데요. 요즘처럼 달러환율이 급등한 시기에 더욱 중요한 내용이니, 펀드에 관심이 있다면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환노출과 환헤지, 어떤 펀드로 투자해야 이익일까요? 1) 환헷지 & 환노출이란? 2) 포인트는 '환헷지 비용'과 '달러' 3) 미국주식을 외국인처럼 투자할 수 있는 방법? 1) 환헷지 & 환노출이란? 환헤지(hedge)는 환율변동을 피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를 말합니다. 즉, 환율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게끔 투자되는 방법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달러가치가 상승하는 지금같은 시기에 환율상승에도 이익을 보지는 않는 구조인거죠. (반대로 환율 하락의 경우도 같습니다) 환노출(언헷지)은 환율.. 금융/투자 이야기 2022. 10. 17. 폭행사고, 실비보상이 가능할까요? 폭행과 관련된 일을 겪으셨다면,병원에 가기전에 이 글을 읽어보세요✔️ 폭행사고, 실비보상이 가능할까요? 1. 된다, 근데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먼저 봐야한다 2. 병원측에 급여제한여부 조회신청을 요청해야 한다 3. 내가 가해자가 되면 안됩니다 4. 약관별로 조금다르고, 일반보험도 보상된다. 1. 된다, 근데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먼저 봐야한다개인 보험인 실비를 적용받으려면 우선건강보험 대상인지의 여부가 중요합니다.건강보험 적용이 제한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모두' 건강보험 적용이 됩니다.우선 국민건강보험법 제 53조 (급여의 제한)을 보면,고의나 범죄, 혹은 업무 또는 공무로 보상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보대상이에요고의로 자해를 해서 다쳤거나, 범죄행위에 해당하면건강보험 적용이 안된다는 뜻이죠.아니라.. 금융/약관, 보상 이야기 2022. 10. 10. 치아파절도 골절이고 실금도 골절이다 (골절진단) 치아가 깨지는 경우, '골절진단금'을 받을수도 있고 못받을 수도 있습니다. 가입된 보험의 약관에 따라 다른데요. 받을 수 있는 보험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치아파절도 골절이고 실금도 골절이다 (골절진단) 1. 치아깨진게 골절진단금이 나오는 이유2. 실금도 골절이다.3. 약관을 보면 정확하다 1. 치아깨진게 골절진단금이 나오는 이유 치아가 깨졌는데 골절진단금을 받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보통 과거의 보험약관에서 돈을 주지 않겠다는 '면책' 조항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죠. 골절의 코드가 나오면 진단금은 지급되게 되있고,치아파절의 경우 골절코드가 나옵니다. 'S02.5 치아파절'로 말이죠. 약관을 보면 현재 골절약관은 치아파절을 제외한다고 명시되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의 약관에는 이러한 .. 금융/약관, 보상 이야기 2022. 10. 3. 실손의료비 보험 시기별 약관 다운로드 실손의료비 보험 시기별 약관 다운로드 1. Intro 2. 실비 개정 히스토리 3. 약관 다운로드 1. Intro 오랫동안 필수보험으로 자리잡은 실손의료비보험(이하 '실비'). 다른 회사별로, 또 시기별로 다 다르기도 하고 문구하나에 보상해석이 달라집니다. 실손의료비는 09년 8월 '표준화' 이후로 모든 보험사가 같은 표준약관을 사용합니다. (표준화 이전 시기에 가입한 실비 약관은 반드시 가입된 회사의 가입된 시기 약관을 확인해야합니다) 헷갈릴때마다 실비약관을 다운받으면 검색도 힘들고 정리가 안되서, 그래서 또 관련 정보를 찾아보면 막상 광고성 글이 너무 많아 직접 정리했습니다. 2. 실비 개정 히스토리 실손보험 개정의 중요 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3년 이전 중복보상 가능, 이후 중복보장 불가능 .. 금융/약관, 보상 이야기 2022. 9. 29. 요실금의 실손 보상여부와 구약관 보상 팁 (N39.0) 요실금과 실손의료비 보상 여부에 추가로 16년 이전 실비 가입자들의 요실금 코드관련 팁까지 정리했어요.요실금의 실손 보상여부와 구약관 보상 팁 (N39.0) 1. 요실금은 보상 받을 수 있을까? 2. 어디서도 말해주지 않는 보상팁 3. 주의사항1. 요실금은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해 소변이 나오는 질병입니다🩺'질병' 이지만, 실손의료비 보장에서는 보장이 되지 않죠🙅🏻♂️그 이유는 약관 속 '보상하지 않는 사항' 부분에 나와있습니다📖2016년 1월 1일 대대적인 약관의 개정이 한번 있었어요.16년도 이전 14년도 실비약관입니다.'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사유' 2항 6번을 보면'비뇨기계 장애 (N39, R32)' 가 명시되어 있죠.그래서 보상이 되지 않습니.. 금융/약관, 보상 이야기 2022. 9. 25. 이전 1 ··· 3 4 5 6 7 8 9 ··· 24 다음 728x90 반응형